전유진, 1대 ‘현역가왕’ 등극, 2위 마이진·3위 김다현... 김양·윤수현·강혜연 TOP7 탈락
전유진이 1대 ‘현역가왕’에 등극했다. 2위는 마이진, 3위는 김다현이 차지했다.
13일 방송된 MBN 예능프로그램 ‘현역가왕’ 최종회에서는 결승에 오른 ‘현역가왕’ TOP10이 현역의 인생을 대표하는 단 한 곡으로 최후의 승부를 벌이는 대망의 결승전 2라운드 ‘현역의 노래’ 미션이 펼쳐졌다.
이날 첫 번째로 무대에 선 마리아는 주현미의 ‘비에 젖은 터미널’을 선곡했다. 설운도는 “K-트로트를 보여주는 최초의 외국인이다”며 “한국인처럼 완벽하게 잘하고 있다. 아이돌을 꿈꾸기 위해 한국에 왔다가 트로트로 전향했다고 하는데 잘 왔다. 아이돌보다 이쪽이 행사다 많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마리아는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98점·50점을 각각 받았다.
부친상을 딛고 이어 김양은 한정무의 ‘꿈에 본 내 고향’을 불렀다. 김양은 “(트로트를) 엄마 아빠가 정말 많이 알려주셨다. 알려주셨던 곡 중 하나다. 아빠가 직접 불러주시기도 했다. 좋아하던 곡이다”며 눈물을 흘렸다.
김양은 “작년에 (아버지가) 암 수술을 하셨는데 전이가 돼서 많이 좋진 않았다. 저한테는 슈퍼맨이자 영웅인데 많이 힘들다. 제가 노래하는 모습을 보셔야 행복해하시니까. ‘현역가왕’ 하시면 또 보고 계신다. 무대에 서는 모습을 많이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이다”라고 효심을 보였다. 김양은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88점·50점을 받았다.
강혜연은 신행일의 ‘청춘을 돌려다오’로 무대를 꾸몄다. 강혜연은 “제가 음악을 어렸을 때부터 하고 싶다고 얘기해서 부모님께서 지지를 많이 해주셨다. 걸그룹 하면서 마지막 정산 때 빚이 개인당 1억이 넘었다”고 고백했다.
그러면서 “그때까지 부모님이 금전적인 지원을 해주셔서 마음이 아프다”며 “아이돌 했을 때 그때가 제일 엄마한테 미안하다. 엄마 아빠가 청춘을 다 바치지 않았냐. 내가 잘돼서 돌려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강혜연은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95점·50점을 받았다.
현역가왕 방송 바로가기
현역가왕 : MBN 프로그램
m.mbn.co.kr
린은 남진의 ‘상사화’를 특유의 감성으로 소화했다. 린은 “현역 0년 차로 여기에 나와서, 누구는 무대가 귀하고 무대가 부족한 후배들한테 자리를 내어주지 ‘왜 트로트 가수를 뺏냐. 너무 이기적인 거 아니냐’ 이런 말을 들었을 때 ‘그럼 내 꿈은?’, ‘가수로서 나는?’ 내 진심이 어딘가에 닿겠구나”라고 털어놨다. 린은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100점·70점을 받았다.
연예인 평가단의 작곡가 윤명선은 “이 트로트계 정말 들어오기 힘들다. 두 달 만에 입성 후 인정받았다. 정말 고급진 트로트 음악 시장과 무대, 팬을 확보할 것 같다”며 “오른손을 펼친 엔딩 포즈는 린 씨의 음악 인생 명장면으로 남을 것 같다”고 극찬했다.
무대를 마친 린은 바닥에 주저앉으며 “오늘 현역들 부모님들이 오셨다. 저는 부모님 계시면 노래 못 할 거 같아서 초대를 못 했다. 부모님이 ‘현역가왕’ 너무 좋아하신다. 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는데 너무 아쉽다”며 눈물을 흘렸다.
별사랑은 남진의 ‘미워도 다시 한번’을 선곡해 무대에 올랐다. 별사랑은 “노래하다 보니 음악이 미울 때도 많았는데 포기하지 않고 여기까지 왔다. 음악이 미운 순간들이 많았지만 ‘현역가왕’에 다시 도전한 것처럼 무대에 임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별사랑은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100점·60점을 받았다.
김다현은 나훈아의 ‘어매’를 열창했다. 선곡과 다르게 김다현의 어머니는 관객석에 보이지 않았다. 그의 어머니는 영상에서 “너무 떨린다. 노래 부르는데 엄마가 겁먹고 보고 있는 걸 네가 보면 흔들릴까 봐”라며 이날 객석에 자리하지 않은 이유를 밝혔다.
김다현은 “평소에 어머니께서 운전도 직접 해주시고, 의상 등 다 챙겨주신다. 항상 곁에서 토닥이며 위로해 주셔서 감사하고 죄송하다”고 말했다.
무대를 본 설운도는 “이 나이에 이런 가창력을 가질 수 있다는 거에 부모님께 감사해야 한다. 이런 가창을 낼 수 없다”며 “욕심이 있다면 오랫동안 노래를 해야하지 않냐. 지금 이 감정에서 조금 줄여주면 더 훌륭한 실력자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 김다현은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100점·60점을 받았다.
윤수현은 박경희의 ‘저 꽃 속에 찬란한 빛이’를 압도적 성량으로 열창했다. 그는 “가수의 꿈을 품고 순탄하지는 않았던 거 같다. 노래가 하고 싶어서 일은 하면서도 20대도 치열하게 살았다”고 돌아보며 “정규 1집 ‘천태만상’을 냈는데 감사하게도 4년 만에 역주행이 돼서 조금씩 빛이 보였던 것 같다”고 말했다. 윤수현은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100점·40점을 받았다.
마이진은 조항조의 ‘옹이’를 골랐다. 연습 당시 마이진은 ‘옹이’를 끝까지 부르지 못하며 눈물을 보여 궁금증을 자아냈다. 마이진은 “이 노래가 어떻게 보면 제가 다시 노래할 수 있게 만들어준 곡이다”라고 이유를 들려줬다.
그는 “딱 이 때가 ‘가수 하지 말까?’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을 때 이 노래를 들었는데, ‘언제쯤 가수의 미련을 내려놓을 수 있을까’ 했는데 못 내려놓죠”라고 말했다.
무대를 본 주현미는 “‘현역가왕’에서의 마지막 무대 멋지게 잘 끝내줬다. 아끼는 후배이기에 보면서 안타까움도 컸는데 무대 지켜보면서 같이 마음 졸이며 응원했다”며 “이제 독보적인 캐릭터로 사랑받을 거라 생각한다”고 응원했다. 마이진은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100점·70점을 받았다.
박혜신은 이미자의 ‘내 삶의 이유 있음은’을 선곡했다. 앞선 경연에서 계속 1위를 한 박혜신은 “‘나한테도 이런 모습이 있었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는 용기도 얻었다”며 “응원해 주시는 마음에 보답하고싶다”고 밝혔다.
무대를 본 설운도는 “근래에 많은 오디션과 현역 중에서 허스키 보이스가 많이 없다. 매력적인 목소리를 가지고 있고 트로트한일전에 모든분들이 나가길 바랄 것 같다”고 극찬했다. 박혜신은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100점·80점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전유진은 한경애의 ‘옛 시인의 노래’를 선곡, 가성과 진성을 오가며 완벽하게 소화했다. 무대를 본 윤명선은 “‘현역가왕’을 통해 진정한 가수로 급성장했다고 생각한다”며 “마지막으로 드릴 수 있는 말은 여러 음악을 접하고 여러 노래를 불러서 팬들 께 많은 위로를 전하는 가수로 성장할 거라고 믿는다”고 응원했다. 전유진은 연예인 평가단 최고·최저점으로 100점·70점을 받았다.
실시간 문자투표까지 합산된 최종 결과 10위 김양, 9위 윤수현, 8위에 강혜연이 이름을 올렸고, 7위 별사랑, 6위 마리아, 5위 박혜신, 4위 린, 3위 김다현, 2위 마이진이 차지했다. 영광의 우승자는 전유진이었다. 강혜연 윤수현 김양은 아쉽게 TOP7에서 탈락했다.
최종 1대 현역가왕이 된 전유진은 “정말 여기까지 온 것만으로도 기쁘고 행복이고 선물인데 이렇게 큰 상을 주셔서 앞으로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다시 한번 무대에 설 수 있도록 용기를 주신 팬분들 덕분에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하고 여기 계신 언니들한테 많이 배우고 가는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MBN 예능프로그램 ‘현역가왕’은 2024년 치러질 ‘한일 트롯 가왕전’에 나갈, 대한민국 대표 ‘최정상급 여성 현역 트롯 가수’ TOP7을 뽑는 서바이벌 음악 예능 프로그램이다.